국가지질공원은 국내 지질 중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
이를 보전하고 교육관광에 활용하기 위해 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을 말합니다.
청송은 2014년 4월 11일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습니다.
국가지질공원 신청가능지역
- 지질과 관련된 고고학적, 생태적, 문화적 요인이 우수하여 보전가치가 높은 곳
- 지질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통하여 지역 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곳
- 지질공원 안에 지질명소 또는 역사적 유물이 있으며, 자연경관과 조화되어 보존의 가치가 있는 곳
- 그 밖에 지질공원의 인증을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한 사항에 적합한 곳
※ 법적근거 : 자연공원법 제36조의3(지질공원의 인증 등)
국가지질공원 현황
국가지질공원
울릉도·독도, 제주도, 부산, 청송, 강원평화, 무등산권,
한탄강, 강원고생대, 경북 동해안, 전북 서해안권, 단양
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
청송, 제주도, 무등산권, 한탄강
▶ 국가지질공원 홈페이지 : http://www.koreageoparks.kr/
번호 |
명칭 |
면적 |
인증년도 |
1 |
울릉도.독도 국가지질공원 |
127.9Km² |
2012 |
2 |
제주도 국가지질공원(세계지질공원) |
1864.4Km² |
2012 |
3 |
부산 국가지질공원 |
296.98Km² |
2013 |
4 |
청송 국가지질공원(세계지질공원) |
845.71Km² |
2014 |
5 |
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 |
1829.1Km² |
2014 |
6 |
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(세계지질공원) |
246.31Km² |
2014 |
7 |
한탄강 국가지질공원(세계지질공원) |
1164.74Km² |
2015 |
8 |
강원고생대 국가지질공원 |
1990.01Km² |
2017 |
9 |
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|
2261Km² |
2017 |
10 |
전북 서해안권 국가지질공원 |
520.3Km² |
2017 |
11 |
백령.대청 국가지질공원 |
66.86Km² |
2019 |
12 |
진안.무주 국가지질공원 |
1154.62Km² |
2019 |
13 | 단양 국가지질공원 | 781.06Km² | 2020 |